[서평] 초격차



[초격차]는 삼성전자가 경쟁자들이 따라잡을 수 없는 격차(=초격차)를 벌리며 2017년 인텔을 넘어서기까지, 주역으로 활약했던 삼성전자의 권오현 회장이 어떠한 전략과 통찰을 바탕으로 조직을 운용했는지를 담고 있는 책입니다. 기본적으로는 최고의 성과를 내기 위해 조직을 어떤 방식으로 운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관심이 있는 분들께 가장 적합할 듯 싶습니다.

하지만, 굳이 본인이 리더가 아니더라도 이 책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있습니다. [초격차]의 주된 내용은 경영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조직 운용 전략이지만, 한편으로는 이러한 운용 전략에 걸맞는 이상적인 인재(팀원)상도 함께 제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조직의 성과란 건 리더를 포함한 조직원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것인 만큼, 리더 뿐만이 아니라 구성원들 모두가 바람직한 조직 문화에 대한 신념을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행동할때 정말 큰 성과가 날 수 있겠지요.

이렇게 리더와 팀원 쌍방의 입장에서 이 책의 내용을 바라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리더의 역할

  • 초격차를 만들기에 걸맞는 도전적인 목표를 조직 전체에 제시한다.
  • 조직의 목표 달성에 걸맞는 명확한 역할과 세부 목표를 구성원들에게 부여한다.
  • 역할을 부여한 후에는 직원들이 자율적으로(proactively) 일할 수 있도록 권한을 위임한다.
  • 조직의 시스템을 계속 모니터링하면서 비효율적인 부분을 제거한다.(예: 부서간 장벽 깨기, 불필요한 회의 줄이기, 선택과 집중을 통한 업무 효율성 관리)
  • 신상필벌을 통해 직원들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팀원의 역할

  • 조직의 전체적인 목표를 이해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목표와 자신이 업무가 가지는 맥락을 이해한다.
  • 리더가 안심하고 업무를 위임할 수 있도록 담당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철저하게 갖추고, 호기심과 전향적인 자세를 바탕으로 끊임없이 혁신을 추구한다.
  • 조직의 시스템에서 비효율적인 부분이 있으면 리더와 상의하여 조직 전체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당연하게 들리기도 하는 내용들이기도 하지만, 당연한만큼 잊어버리기도 쉽고 실제로 행동에 옮기기는 또 어려운 것 같습니다. 시간 있을 때마다 책의 내용을 되뇌이면서 스스로를 훈련시켜야겠네요.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맥락 기반(Context-aware) 추천 시스템은 어떻게 만드는가?

유튜브 추천시스템 논문 리뷰 Part 2 - Deep Neural Networks for YouTube Recommendations (RecSys 2016)

python standard 라이브러리인 bisect로 이진탐색하기